이전 묻고 답하기
HOME > 묻고 답하기 > 이전 묻고 답하기
ㆍ 제목 |
23개월 유아 무릎 통증호소 |
ㆍ 조회수 |
23 |
ㆍ 등록일시 |
1970-01-01 09:00:00 |
ㆍ 첨부파일 |
|
23개월 여아입니다
1. 23일 11시 30분 갑자기 무릅통증을 호소하며 걷지를 못합니다.
2. 24일 오전 인하대병원에서 엑스레이를 찍었으나 특이한 문제가 없으니 며칠 기다려 보라고 하시더라고요
그래서 오후에 개인병원 정형외과가서 다시 엑스레이를 찍고, 일과성 고관절 활액막염이라는 진단을 받고, 부루펜시럽 처방을 받고, 며칠 휴식을 취하라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3. 25일. 그래도 걱정이 되어서 소아과를 방문하였더니 일과성고관절활액막염이 맞다고, 맥시부펜 처방을 받고, 며칠간 열심히 안고 다니라는 소견을 들었습니다.
4. 26일. 걷던 애가 기어다니는걸 보니 답답해서 다시 다른 소아과를 찾았고, 인하대-신경쪽 검사를 받아보라고 의뢰서를 써주시더군요.
5. 27일. 아침에 갑자기 열이 38.4도를 기록하고 목이 아프다고 엉엉 울더니 1시간 경과후 자동으로 열이 내리고 기운도 회복하고 밥도 먹더군요. 그래도 걱정되어 어제 갔던 소아과를 찾았더니 목감기가 온 것 같다고, 열이 염증때문인지도 모르니 오후에 인하대병원에 가보라고 하더군요.
오후에 인하대병원 소아과를 방문하니 신경쪽은 이상없고 고관절에 이상이 있는 것 같다고, 아침에 열감이 있었으니 입원해서 정밀검사를 하라고. 그러나 열은 바로 내렸고 고관절 부위에 열감이 없었던터라 그대로 병원을 나왔습니다.
6. 23일 발병해서 31일 오늘까지 (27일 오전 1시간을 제외하고) 열감 전혀 없고, 통증도 호소하지 않고, 활동성도 떨어지지 않습니다. 걷지 못하는 것을 제외하고, 쪼그려앉고 기어가고 앉은뱅이걸음을 하고 소파에 올라가고 등등 모든게 자연스럽습니다. 아이에게 물어보면, 무릅이 혹은 다리가 아파서 지금은 앉아있어야 한다고 혹은 기어가야 한다고 말합니다.
오늘 오전 개인병원 정형외과를 다시 가니 항생제 3일치를 처방해주시더군요. 아가라서 초음파검사를 하려고 해도 마취를 해야한다고... 일과성고관절활액막염이 99%인데, 1%는 LCP일 수 있으나 그나마도 지금은 알 수 없으니 2주정도 더 지켜본 후에 조치를 취해도 늦지 않는다고.
----------
이전에 감기에 걸린적도 없고 추운겨울이라 집안에만 있어서 특별히 무리한적도 없는데 일과성고관절활액막염에 걸릴 수 있는건지요?
일과성고관절활액막염은 보통 3~10일이면 회복된다는데 왜 전혀 차도가 없는걸까요?
혹시 LCP or 화농성고관절염 or 모르는 희귀질환일까 우려스럽습니다.
혈액검사, 초음파검사, MRI 등 검사를 해야하는건지... 지금이라도 연세대 소와정형외과를 방문해서 정밀검사를 받아봐야 할까요? 그렇다면 어떤 선생님을 찾아서 진료 예약을 하면 될까요?
잘 걷던 애가 기어다니는걸 보면 가슴이 먹먹해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리고, 어떻게 해야할지 조언좀 꼭 부탁드립니다.
|